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갈아타기 총정리 (수령액, 장단점)

 
 
2024년 2월부터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시작됩니다. 청년희망적금으로 만든 목돈을 어떻게 재투자 할지 고민이신 분들이 많습니다. 재투자하려면 만기금액을 정확히 알고 계셔야겠죠? 오늘은 청년희망적금 월 납입금별 만기금액을 계산해보고,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갈아타기로 약 5,000만원이라는 목돈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청년희망적금 만기일

청년희망적금 만기일은 2024년 2월 21일부터 입니다. 2022년 2월 21일부터 시작된 적금 상품으로, 가입일자에 따라 만기일이 다릅니다. 12월 중순, 청년희망적금 가입 유지자 대상으로 서민금융진흥원 카카오톡 채널로부터 만기일 안내 공지가 왔습니다. 카카오톡 메세지를 못 받으신 분들은 가입하신 은행 어플리케이션에서 청년희망적금 만기일 확인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 계산 (납입금별)

2022년 2월부터 2024년 2월까지 24개월간 꾸준히 모아온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은 얼마일까요?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납입금 50만원에 대해서만 만기 수령액 계산해주는 곳들이 많아, 직접 계산해봤습니다.
월 납입금, 이자율에 따라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연이자 6%인 경우, 월 납입금별 만기 수령액

월 납입금원금저축장려금은행이자수령액
10만원240만원72,000150,0002,622,000
20만원480만원144,000300,0005,244,000
30만원720만원216,000450,0007,866,000
40만원960만원288,000600,00010,488,000
50만원1,200만원360,000750,00013,110,000
 
 

2) 연이자 5.5%인 경우, 월 납입금별 만기 수령액

월 납입금원금저축장려금은행이자수령액
10만원240만원72,000137,5002,609,500
20만원480만원144,000275,0005,219,000
30만원720만원216,000412,5007,828,500
40만원960만원288,000550,00010,438,000
50만원1,200만원360,000687,50013,047,500
 
 

3) 연이자 5%인 경우, 월 납입금별 만기 수령액

월 납입금원금저축장려금은행이자수령액
10만원240만원72,000125,0002,597,000
20만원480만원144,000250,0005,194,000
30만원720만원216,000375,0007,791,000
40만원960만원288,000500,00010,388,000
50만원1,200만원360,000625,00012,985,000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 계산하는 방법

청년희망적금은 기본금리 5%에 우대금리 1%로 최대 연 6% 이자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저 금리인 5%와 최고 금리 6%, 중간 금리 5.5% 3가지 경우에 대하여 계산해봤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은 원금에 은행 이자를 더하고, 일반 적금과 다르게 정부의 저축장려금까지 더해주면 됩니다. 우대금리 차이로 위 3가지 경우에 속하지 않는 분들은 아래 계산기를 참고하시어 직접 간단하게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 원금: 월 납입금 * 24개월
  • 저축장려금: 1년차 납입액의 2% + 2년차 납입액의 4%
  • 은행이자: 단리로 계산하여 <이자 계산기> 이용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갈아타기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갈아타기

2022년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되고, 만기가 되기 1년 전인 2023년에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되었습니다. 두 상품은 중복 가입이 불가해서 많은 청년들이 불편을 겪었는데요.
청년희망적금으로 얻게 되는 약 1,300만원 목돈을 재투자하여 더 큰 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청년 도약계좌로 연계하는 방식을 고안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갈아타기를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만들어줬다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 1,260만원을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할 경우 18개월 치를 일시납 한 것으로 인정
  • 청년도약계좌의 월 납입금은 18개월 간 납부하지 않고, 19개월 차부터 납부 시작
  • 18개월 동안 1,260만원에 대해 이자가 붙기 때문에 기존 청년도약계좌 적금 방식 보다 이자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연계 방식을 위 3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고요?
아래에 연계할 경우, 연계하지 않을 경우 각각 청년도약계좌 만기 수령액을 비교해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만기 수령액 (청년희망적금에서 연계시 VS 미연계시)

청년희망적금 연계청년희망적금 미연계
원금42,000,00042,000,000
원금에 대한 이자5,783,7505,337,500
정부 지원금1,440,0001,440,000
지원금에 대한 이자183,000183,000
청년도약계좌 만기금액49,406,75048,960,500

청년희망적금 연계하여 도약계좌에 가입할 경우, 18개월간 예금에 대한 이자가 발생하고 19개월차부터는 적금 방식으로 이자가 발생합니다.
연계하지 않고 그냥 도약계좌에 가입할 경우에는 처음부터 적금 방식으로 이자가 붙기 때문에 [원금에 대한 이자]에서 차이가 납니다.

아쉬운 점은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가입 시점에서 정확히 이자를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 [장단점] 목차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갈아타기 장단점

장점

  • 정부 지원금까지 합하면 일반 적금 상품보다 이율이 높다.
  • 이율 높은 적금들은 보통 월 납입액이 적은 경우가 많은데, 청년도약계좌는 월 70만원까지 가능하다.

단점

  • 만기가 5년이나 되어 장기간 큰 돈이 묶이게 된다.
  • 3년은 고정금리 (기본금리 4.5% + 우대금리 1.5%), 2년은 변동금리로 금리가 내려가는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
  • 3년이 지나고 4년차에 변동금리가 낮아져 해지하고 싶어도 지난 3년간 모았던 이자 때문에 해지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